[헬스앤라이프] 땀 많이 흘리던 그에게 찾아온 불청객 '요로결석'
- 헬스/헬스리포트
- 2016. 8. 9.
비뇨기과 환자의 25~30%차지...방치하면 신장기능 저하
[헬스앤라이프=윤혜진기자] 날씨가 더워 땀을 많이 흘리는 요즘 소변으로 배출해야 할 수분을 땀으로 배출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요로결석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요로결석은 비뇨기과 환자의 25~30%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 중 하나다. 특히 기온이 높은 7~9월경 많이 발생한다. 요즘 같이 무더운 날에는 소변으로 배출해야 할 수분을 땀으로 배출하면서 소변의 양이 줄고 체내에서 농축되면서 결석이 잘 생긴다.
요로결석은 신장, 요관, 방광 등의 요로에 생긴 돌로, 신장내의 작은 신배 안에서 소변의 성분이 농축되어 형성된 작은 결정에 무기성분이 연속적으로 붙어 생성된다. 본래 신장에서 만들어지나 돌이 움직이는 정도에 따라 요관이나 방광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 결석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원인에는 탈수, 신체대사 이상, 요로감염, 칼슘과 수산염이 함유된 음식물이나 약물의 과잉섭취, 통풍 등이 있다. 또한 돌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요로결석의 증상은 달라진다. 갑자기 옆구리에서 통증이 오거나 구토, 혈뇨, 빈뇨(배뇨 횟수의 비정상적인 증가)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때로는 고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비뇨기과 윤병일 교수는 “요로결석을 방치할 경우, 돌이 계속 커져 이로 인한 요로폐색(막힘)과 이차적인 염증으로 신장 기능의 저하를 가져온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소변검사, 엑스레이, CT 등으로 결석의 위치와 크기 및 요로폐색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후 개인에게 맞는 치료를 해야 한다.
최근 요로결석의 치료는 의료기기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수술을 하지 않고, 체외 충격파 쇄석술과 내시경적 결석제거술을 주로 이용한다. 또한 이 두 가지 치료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기도 한다.
먼저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결석이 있는 위치의 몸 밖에서 높은 에너지 충격파를 발생시켜, 결석을 작게 분쇄한 뒤 소변과 함께 배출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요로결석 치료에서 가장 비침습적이고 마취와 입원이 필요 없는 혁신적인 방법이다.
다만 돌이 엑스레이 상에 보이지 않거나, 너무 크거나 단단해 체외 충격파 쇄석술로 어찌할 수 없을 경우 내시경을 통해 결석을 직접 분쇄하고 제거한다. 이를 ‘내시경적 결석 제거술’이라 하는데 피부의 절개 없이 요도와 방광을 통해 치료가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잘 구부러지는 연성 요관경이 개발되어, 기존의 경성 내시경으로 치료를 할 수 없었던 신장 및 상부 요관에 생긴 결석까지 내시경으로 치료가 가능해졌다.
윤병일 교수는 “요로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하다”며 “요즘 같이 더운 날씨에는 하루 2L 이상의 물을 마시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윤 교수는 "과다한 단백질의 섭취는 소변 내에 칼슘, 수산 등을 증가시키고 소변을 산성화시키기 때문에 육류의 섭취를 제한하거나, 결석 생성을 억제하는 구연산이 함유된 음식(오렌지주스, 레몬주스 등)을 먹는 것도 요로결석 예방의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윤혜진기자 news1@comap.kr
'헬스 > 헬스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헬스앤라이프] 새로운 영상기술로 암전이 조기에 발견한다 (0) | 2016.08.23 |
---|---|
[헬스앤라이프] 더워 죽겠다… 폭염으로 급성심정지 증가 (0) | 2016.08.09 |
[헬스앤라이프] 식약처, 미승인 유전자변형 밀 수입 원천 차단한다 (0) | 2016.08.09 |
[헬스앤라이프 세계 간염의날 특집] A·B·C형 간염 예방, 이렇게 하세요 (0) | 2016.08.09 |
[헬스앤라이프] 한국인 전립선암 악성도 높아, 중년 남성이라면 검진 받아 봐야 (0) |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