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영 서울대치과병원 교수, T세포면역학 분야 Nature 게재
- 헬스/건강정보
- 2018. 11. 26.
반응형
송보미 기자
입력 : 2018-11-23 12:06 수정 : 2018-11-23 12:06

[헬스앤라이프 송보미 기자] 서울대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박주영 교수의 'Remote control of gc expression by arginine methylation' 논문이 <네이처면역학(Nature Immunology)> 11월호에 게재됐다. 부임한 당해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에 발표된 데 치의학계에서는 고무적인 결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 21일 서울대치과병원에 따르면 이번 논문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의 발생과 분화를 조절하는 싸이토카인 공통 수용체 감마(common g cytokine receptor, gc)에 대한 내용으로, 박 교수는 일본 도쿄대 타카나야키(Takanayaki) 박사팀이 <네이처 면역학>에 발표한 연구결과에 대한 프리뷰 및 논문평을 제 1저자로 해 올린 것이다.
연구내용을 보면 면역세포의 발생은 가슴샘에서의 분화가 필수적인데, gc가 결핍될 경우 인터루킨-2,4,7,9,15,21 등의 gc을 사용하는 모든 싸이토카인 신호전달에 결함이 생겨 심각한 면역결핍을 유발한다.
이러한 gc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gc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은 아직 잘 밝혀져 있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타카나야키 박사팀은 아미노산 아르기닌의 메틸화를 담당하는 PRMT5라는 메틸전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PRMT5는 gc 단백질을 직접 메틸화 시키는 것이 아니라 gc 유전자가 단백질로 발현되기 위한...
반응형
'헬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렁이는 의료계, PA제도 어떻게 할 것인가 (0) | 2018.12.14 |
---|---|
A형간염 급성 간부전 예측모델 알파스코어 개발 (0) | 2018.11.30 |
아토피 성인 유병률 증가...아토피로 우울증 위험도 (0) | 2018.11.13 |
지난해 소화불량 환자 61만명 '훌쩍' (0) | 2018.11.01 |
동양인, 서양인에 비해 소혈관에 의한 뇌졸중 발생 비율 높다 [헬스앤라이프] (0) | 2018.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