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파지 현상 통해 체내 노화 세포 공략
- 핫이슈/의료.과학.IT
- 2016. 12. 8.
돌연변이 미토콘드리아의 축적, 노화를 해결할 열쇠
취재팀 전유나 기자
이미지=셔텨스톡
체내 노화 세포를 공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공개됐다.
영국 유명일간지 데일리메일이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과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의 과학자들이 노화를 늦출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연구팀이 진행한 실험의 주요 내용은 체내 미토콘드리아 안에 있는 DNA를 변형시키는 것이다”라고 보도했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호흡에 관여한다. 몸속으로 들어온 음식물을 통해 에너지원인 ATP를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세포 속 에너지발전소라고 불린다. 1개의 세포에 함유된 미토콘드리아의 수는 세포의 에너지 수용에 관계돼 있으며, 일반적으로 호흡이 활발한 세포일수록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가지고 있다. 간세포 1개당 1000~3000개, 식물세포에는 100~200개의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의 인체에는 약 1경개의 미토콘드리아가 있다.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DNA가 파괴되고 변형된다. 즉,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감소하거나 손상을 받아 노화가 진행된다. 미토콘드리아가 세포의 호흡을 돕지 않으면 노화와 질병이 진행된다. 세포 내 약 40%의 에너지(ATP) 생산이 감소하고 인체 노폐물로 인한 산화 손상에 취약해지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DNA 변이와 암 발생 증가 등이 유발된다.
그러나 새로운 발견이 지금까지의 이론을 깼다. 캘텍과 UCLA팀이 유전자를 변형시켜......
전유나 기자 news1@compa.kr
- 헬스앤라이프는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시행세칙을 준수합니다.
'핫이슈 > 의료.과학.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중한 내 눈, 로봇에게 맡길 수 있을까 (0) | 2016.12.09 |
---|---|
국내 백신 UN 납품 시 WHO GMP 현장 실사 면제 (0) | 2016.12.08 |
[글로벌사이언스] 로봇, 인간을 위협할 수 있을까? (0) | 2016.12.07 |
국내 연구진, 식물 기공 조절하는 'GLR칼슘채널' 첫 발견 (0) | 2016.12.07 |
빛의 속도로 정보 전달이 현실이 되다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