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강봉균 교수팀 연구결과 헬스앤라이프 김성화 기자 입력 : 2018/04/28 12:07 [헬스앤라이프 김성화 기자] 강봉균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시냅스를 종류별로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뇌에서 기억이 저장되는 ‘기억저장 시냅스’를 찾아냈다. 시냅스는 두 신경세포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지점으로 신경계의 기능적 최소단위다. 사진=123rf 70여 년 전 캐나다 심리학자인 도널드 헵은 두 신경세포 사이의 시냅스에 기억이 저장된다는 가설을 제시했고 학계에서 유력하게 받아들여졌으나, 기술적인 한계로 아직까지는 실험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 이번 연구로 헵의 학설은 사실로 증명됐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연구팀은 한 신경세포의 수천 개의 시냅스들을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dual..
헬스앤라이프 윤지은 기자입력 : 2017/06/28 19:41그림 = 아쿠아포린4 SNP 유전자 변이에 따른 경험에 의한 뇌 크기 변화와 언어 유창성의 관계(자료:미래창조과학부) 우리 뇌 부피가 말을 배우고 말을 하는 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 부피가 크면 언어학습력과 언어유창성이 우수하단 얘기다. 우리 연구진이 뇌의 비신경세포 유전자가 언어학습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이창준 박사팀과 이화여대 뇌융합과학연구원 류인균, 김지은 교수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다. 27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이들 연구진은 70% 이상이 물로 구성된 뇌 속에서 수분 순환 통로로 쓰이는 뇌 속 별모양의 비신경세포가 수분 순환 및 노폐물 조절 역할 이..
침 치료, 뇌구조 변화시켜 통증 개선… 세계최초 규명 한국한의학연구원·미국하버드대 공동 연구 헬스앤라이프 안종호 기자 | news1@compa.kr | 입력 : 2017/03/09 18:06한의학의 대표 기술인 ‘침 치료’가 손목터널증후군 환자의 뇌 구조를 변화시켜 통증을 개선해 준다는 사실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뇌 영상을 통해 침 자극 시 뇌 반응을 살펴본 연구는 있었으나 임상연구와 뇌 영상기술을 접목해 특정 질환에서 한의학의 침치료 효과를 증명한 것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연구부 김형준 박사팀은 미국 하버드대와 공동으로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진짜 침과 가짜 침의 비교 임상 연구를 진행해 진짜 침만이 뇌의 감각영역과 정중신경(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팔의 말..
뇌까지 도달하는 미세먼지…기억력 저하, 자폐아 출산 위험↑ 숨 쉴 수 없는 도시 미세먼지의 습격 취재팀 윤혜진 기자 입력 : 2017/02/07 09:10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먼지가 국민의 건강을 위협하 고 있다.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뿐 아니라 심혈관 질 환, 피부 질환 등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또 미세먼지에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배출된 대기 오염물질이 더 해져 그 위험성은 더 커진다. 최근 미국 예일대와 컬 럼비아대 연구진이 발표한 ‘환경성과지수(EPI)’에 따 르면 한국의 공기 질은 세계 180개국 중 173위로 최하 위권이다. 미세먼지가 만연하는 환경 속에서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미세먼지 얼마나 위험하길래? 미세먼지가 우리 몸속으로 들어가면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가 이를 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