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길 '꽈당'...고관절 골절 생명까지 위협 -헬스앤라이프
- 헬스/건강정보
- 2017. 2. 1.
빙판길 '꽈당'...고관절 골절 생명까지 위협
치료 미루면 폐렴 등 2차 합병증 발생과 사망률 높아져
한 번 골절되면 재골절 위험 3배 이상 증가
고관절 수술 환자 80%가 60세 이상인 것으로 드러났다.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전영수 교수팀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고관절 골절 수술 환자 1,749명을 분석한 결과, 이 중 전체 수술 환자의 약 80%가 60세 이상이었다고 밝혔다. 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 5년간 통계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2011년 고관절 골절 환자 수 6만2681명에서 2015년 7만7424명으로 약 24%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 환자 비중은 2011년 76%에서 2015년 81%으로 계속 증가했다.
또한 고관절 골절 환자 중 53%가 고혈압(41%)과 골다공증(6%), 그리고 당뇨(4%)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골다공증은 증상이 없다보니 작은 충격에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고 골절 중에서도 분쇄골절인 경우가 많아 치료에 어려움이 많다. 대부분 고령의 환자에게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 전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영수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한번 골절이 발생하면 이후 재골절 위험이 3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관절 골절 후 한 해 평균 사망률은 24%에 달한다”며 “요즘 같은 겨울철에는 낙상하기 쉬운 환경에 많이 노출 되어 있어 각별한 주의와 생활 예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생명 위협하는 고관절 골절...즉각적인 치료 필요
고관절은 우리 몸의 체중을 지탱하고 걷기와 달리기 같은 다리 운동이 가능하도록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다. 만약 낙상으로 고관절 부위가 붓거나 멍들면 골절을 의심해야 한다. 하지만 60세 이상 환자들은 나이 탓 또는 단순 허리통증으로 착각해 치료를 미루거나 참는 경향이 있다. 고혈압, 당뇨 등 만성 내과질환까지 갖고 있다면 회복을 위한 오랜 침상생활 때문에 욕창, 폐렴, 패혈증 등 2차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연령에 관계없이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관절은 다른 부위 골절에 사용되는 석고 고정과 같은 보조적 치료 적용이 어렵고, 장기간의 침상생활로 2차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나이에 따른 수술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수술을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수술은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통해 이뤄진다. 부러지거나 이상이 있는 고관절 일부분을 제거하고 인체공학적으로 제작된 기구를 삽입해 관절의 운동 기능을 회복시키고 통증을 없애는 수술이다. 이미 여러 연구에서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환자 회복은 물론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전영수 강동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
윤혜진 기자 news1@compa.kr
기사 원문:
http://www.healthi.kr/news_view.asp?ArticleID=170201105700&page=1&catr=11&search_keyword=&search_type=
'헬스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팩트체크] 소주 가글하면 입속 세균이 박멸된다? -헬스앤라이프 (0) | 2017.02.02 |
---|---|
하루 10분! 직장인을 위한 실내 하체운동법 4가지 -헬스앤라이프 (0) | 2017.02.02 |
유방암 진단 후 한 달 이내 정신건강 돌봄 필요해 -헬스앤라이프 (0) | 2017.02.01 |
“체온 1도 높이면, 면역력은 5배 증가” -헬스앤라이프 (0) | 2017.02.01 |
설명절 과식, 섬유질 음식으로 잡는다. -헬스앤라이프 (0) | 201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