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교합 신연 골수정’ 세계 최초 개발 골형성부전증 환자에 효과성 입증
- 헬스/헬스리포트
- 2019. 2. 1.
반응형
송보미 기자
입력 : 2019-01-28 12:59 수정 : 2019-01-28 12:59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신창호·조태준 교수팀

사진=서울대병원
[헬스앤라이프 송보미 기자] 뼈가 쉽게 부러지는 유전성 질환인 ‘골형성부전증’ 환자에게 기존보다 효과적이면서 합병증까지 줄일 수 있는 골 고정 장치가 개발됐다. 해당 연구는 <임상정형외과연구(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018년 11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11월 14일 소아정형외과 신창호·조태준 교수팀이 종아리뼈 변형과 골절이 발생한 소아청소년 골형성부전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골 고정 장치인 ‘이중교합 신연 골수정(dual interlocking telescopic rod)’으로 수술 후 2년 이상 경과를 분석한 결과 효과성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골형성부전증은 선천적인 뼈의 결함으로 인해 뼈 결핍과 뼈가 쉽게 부러지는 특징을 갖는 병이다. 치료를 위해서는 ‘골수정(Intramedullary rod)’이라는 기구를 이용해 골절을 고정하는데, 아직 성장기에 있는 소아청소년인 경우 뼈가 자라면서 골수정이 그 길이를 따라가지 못해 골수정의 끝부분에서 다시 뼈가 부러지는 일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반응형
'헬스 > 헬스리포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내분비학회 "美 학회와 亞 가이드라인 만든다" (0) | 2019.04.24 |
---|---|
"공포기억· 반응 조절 뇌 회로 세계 최초 발견" (0) | 2019.02.20 |
백자현 고려대 교수 "인간의 충동성, 조절 가능성 열렸다" (0) | 2018.12.19 |
"하지정맥류 치료 효과, 고주파가 레이저 앞서" (0) | 2018.12.17 |
백혈병단체, 가족간 반일치 혈연이식치료 급여적용 촉구 (0) | 2018.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