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없는 뇌경색 당뇨병과 연관성 최초 규명
- 헬스/병원소식
- 2016. 11. 28.
반응형
인슐린저항성, 뇌 소혈관에 발생하는 무증상 뇌경색 위험 69% 높여
취재팀 윤혜진 기자
▲왼쪽부터 이지은, 박진호, 권형민 교수/사진제공:서울대병원
서울대병원 연구팀(이지은, 박진호 가정의학과 교수)과 서울시보라매병원 연구팀(권형민 신경과 교수)이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2326명의 뇌 MRI와 혈액검사를 통해 인슐린저항성과 열공성 뇌경색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열공성 뇌경색이 나타날 확률이 69%, 열공성 뇌경색 병변(뇌경색으로 변성된 뇌 조직)의 개수가 2개 이상 다수로 발견될 확률이 76%로 나타났다. 인슐린저항성이 무증상 뇌경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음을 최초로 밝힌 연구다.
뇌경색은 뇌에 분포하는 혈관의 일부가 막혀, 뇌기능의 장애가 생기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신체마비,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아주 작은 혈관에 발생해 겉으로는 어떤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윤혜진 기자 news1@compa.kr
© 헬스앤라이프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헬스앤라이프는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시행세칙을 준수합니다.
- 헬스앤라이프는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시행세칙을 준수합니다.
반응형
'헬스 > 병원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진수 일산 백병원 원장, 제17대 대한족부족관절학회 회장 취임 (0) | 2016.11.29 |
---|---|
병원, 영유아건강검진 집단 거부…한의사가 하겠다 (0) | 2016.11.29 |
김한울 이대목동병원 교수, 대한소아감염학회 학술상 수상 (0) | 2016.11.28 |
이정일 강동경희대병원 교수, 대한간학회 회장 선출 (0) | 2016.11.28 |
대동맥 림프절 방사선치료 자궁경부암 재발 막는다 (0) | 2016.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