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혈관 정상화해 암 전이·억제 방법 규명
- 핫이슈/의료.과학.IT
- 2016. 12. 13.
TIE2 활성 항체 적용해 저산소증 감소… 항암제 효과·면역세포 활동 ↑
취재팀 윤혜진 기자
암 환자의 혈관을 일반 혈관처럼 정상화하면 암의 진행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과 박진성 연구원이 암 혈관 내피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TIE2 활성항체'를 이용해 암 혈관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을 안정적으로 바꾸면 암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암 연구 분야 최고 학술지 '캔서 셀' 13일자에 발표했다. 암은 성장과 전이를 위해 스스로 혈관을 만드는데 정상 혈관과 달리 구조와 기능이 매우 불안정하다. 혈관 주위를 감싸는 주변지지세포가 없고 혈관 내피세포 사이 틈이 벌어져 있다. 또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며 종양 주위 조직으로 새어 나온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암 혈관의 특징은 종양 내 저산소증을 유발해 암 혈관 형성을 촉진하고 항암제 전달도 어렵게 한다. ■ 암환자 혈관서 ‘TIE2’ 발현 높다는 사실에 착안 연구진은 암혈관이 정상화되면 암세포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해 저산소증으로 의한 암 진행과 약물저항성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정상화된 혈관으로 항암제와 면역세포의 침투도 원활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혈관의 분화와 안정을 촉진하는 수용체 단백질 TIE2는 암 혈관에 발현이 높다. 이에 연구진은 암혈관의 TIE2 수용체를 활성화하면 TIE2단백질과 결합해 암 혈관을 안정화하면서 주변지지세포들을 결집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했다. ■ TIE2활성항체 투여...종양크기 40%↓ 생존기간 42%↑
연구진은 기존에 제작한 TIE2 활성 항체를 뇌종양·유방암·폐암에 걸린 실험동물에 투여, 암 혈관의 TIE2를 활성화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TIE2 활성 항체는 불안정한 암 혈관을 정상 혈관으로 만들어갔다. 종양 내부로 혈류가 증가해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뤄지며......
윤혜진 기자 news1@compa.kr
© 헬스앤라이프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헬스앤라이프는 인터넷신문윤리강령 및 시행세칙을 준수합니다.
'핫이슈 > 의료.과학.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척수 상의세포종, 서로 다른 종양 증명 -헬스앤라이프 (0) | 2017.01.26 |
---|---|
곧 다가올 미래에 인류를 위협할 37가지 바이러스 (0) | 2016.12.15 |
소중한 내 눈, 로봇에게 맡길 수 있을까 (0) | 2016.12.09 |
국내 백신 UN 납품 시 WHO GMP 현장 실사 면제 (0) | 2016.12.08 |
오토파지 현상 통해 체내 노화 세포 공략 (0) | 2016.12.08 |